본문 바로가기
뉴스

[뉴스]한국 11년째 갇힌 ‘3만달러 벽’… 美·英은 어떻게 뚫었을까?

by 에스페란토아이비킴 2025. 3. 6.

 

  어제 발표된 한국 1인당 국민소득 36,624달러라는 
발표를 보고 여전히 3만 넘군! 흐뭇!
(일종의 안심을 했는데)
11년째 3만달러에 갇혀있는 문제점이 
무엇인가를 들여다보게 되네요.
넘어라, 3만!
이제 목표가 생겼다. 

Q1. 한국은 언제 1인당 국민소득(GNI) 3만 달러를 돌파했나요?

👉 한국은 2014년 3만 달러를 처음 돌파했습니다.
하지만 11년째 4만 달러를 넘지 못하고 있습니다.

Q2. 다른 나라들은 얼마나 걸려서 4만 달러를 넘었나요?

👉 주요 선진국들은 평균 4.9년 만에 4만 달러를 돌파했습니다.
📌 반면, 한국은 11년째 정체 중이라 두 배 이상 지체되고 있습니다.

Q3. 한국이 4만 달러를 못 넘는 이유는 뭔가요?

👉 여러 요인이 있지만, 핵심 원인은 혁신 부족과 구조 개혁 지연입니다.
📌 환율 문제도 일부 영향을 미쳤지만, 근본적으로는 경제 체질 개선이 부족하다는 지적이 많습니다.


🇺🇸 미국: 혁신이 답이다!

Q4. 미국은 어떻게 4만 달러를 넘었나요?

👉 끊임없는 혁신과 IT·바이오 산업 성장 덕분입니다.

  • 1997년 3만 달러 돌파 → 7년 만인 2004년 4만 달러 돌파
  • 2023년 기준 8만 달러 돌파!

📌 미국은 신생 기업이 성장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했습니다.

  • 세계적인 기업들이 계속 탄생하며 경제 성장을 이끌었습니다.
  • 예: 애플, 구글(알파벳), 테슬라, 엔비디아
  • 벤처 투자 활성화, 신산업 규제 완화, 기술 개발 지원 등이 핵심이었습니다.

🇬🇧 영국: 제조업에서 금융·서비스로 전환!

Q5. 영국은 어떻게 4만 달러를 넘었나요?

👉 금융·서비스 산업 중심으로 경제 구조를 개편했습니다.

  • 2002년 3만 달러 돌파 → 단 2년 만인 2004년 4만 달러 돌파

📌 제조업이 쇠퇴했지만, 대신 고부가가치 서비스업을 육성했습니다.

  • 금융, 법률, 컨설팅, IT 서비스 등 고부가 서비스 산업을 키웠습니다.
  • 영국 런던은 지금도 유럽 금융의 중심지입니다.

🇰🇷 한국: 앞으로 어떻게 해야 할까?

Q6. 한국이 4만 달러를 넘기 위해 해야 할 일은?

① 혁신 기업 성장 지원 (미국 모델)

  • 스타트업 육성벤처 투자 활성화
  • IT·바이오·AI·반도체 등 신산업 적극 지원

② 서비스업 경쟁력 강화 (영국 모델)

  • 금융·컨설팅·법률·IT 서비스 등 고부가가치 산업 확대
  • 제조업 위주 성장 전략에서 벗어나 서비스 경제 활성화

③ 규제 개혁 & 노동시장 개혁

  • 기업이 성장할 수 있도록 규제 완화
  • 노동시장 유연성 강화로 생산성 증대

📌 미국과 영국처럼 혁신과 경제 구조 개편을 추진해야만 한국도 4만 달러 벽을 넘을 수 있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