살루톤! 아이비입니다.
경제는 마구 흔들리고
불안한 심정을 입밖에 내는 것은 그리 좋은 것은 아닌듯.
왜 그랬는지는 모르는데 앞으로 3개월간
버틸 수 있으면 그리 걱정하지 말자!는 인생교훈으로
하루하루 꾸준히 살고 있습니다.
'사부작 사부작, 꼼지락 꼼지락'
꾸준히 나아가는 마음으로...
이 관세를 이용해 영어회화로 맘을 달래 봅니다.

Jamie:
Did you hear the U.S. is slapping new tariffs on Chinese imports again?
미국이 또 중국산 수입품에 새 관세를 매긴대. 들었어?
Taylor:
Yeah, I saw that. My phone already costs an arm and a leg — now I’ll need to sell my soul for a charger?
응, 봤어. 핸드폰도 이미 너무 비싼데, 이젠 충전기 사려면 영혼까지 팔아야 하나 봐.
Jamie:
Right? At this rate, AirPods will be a luxury item only billionaires can afford.
진짜. 이러다 에어팟은 억만장자만 쓸 수 있는 명품 되는 거 아냐?
Taylor:
I don’t get it. What’s the goal? Is it economic strategy or just “let’s see what happens” diplomacy?
이해가 안 돼. 목표가 뭔데? 경제 전략이야, 아니면 그냥 “일단 해보고 보자” 외교야?
Jamie:
I think it's about protecting domestic industries… or pretending to.
국내 산업 보호하려는 거 같긴 한데… 그냥 그런 척하는 걸 수도.
Taylor:
Either way, the only thing being protected is my wallet — from having anything left inside it.
어쨌든 보호되는 건 내 지갑뿐이야. 남는 게 없다는 의미로 말이지.
Jamie:
Just wait — next week we’ll probably have a tariff on coffee. That’s when the real riots begin.
기다려 봐. 다음 주쯤엔 커피에도 관세 붙는다고 할 걸? 그땐 진짜 폭동 난다.
Taylor:
If that happens, I'm moving to Canada. I hear they still value affordable caffeine.
그럼 나 캐나다로 이민 갈 거야. 거긴 아직 저렴한 카페인을 소중히 여긴다더라.
🇺🇸 미국 관세 관련 핵심 어구 정리 + 한글 해석
- slapping new tariffs
→ 새로운 관세를 매기다
(예: The U.S. is slapping new tariffs on Chinese imports.) - costs an arm and a leg
→ 엄청 비싸다 / 돈이 많이 든다
(예: My phone already costs an arm and a leg.) - luxury item
→ 사치품, 명품
(예: AirPods will be a luxury item.) - economic strategy
→ 경제 전략
(예: Is it economic strategy?) - protecting domestic industries
→ 국내 산업을 보호하다
(예: It's about protecting domestic industries.) - tariff on (something)
→ ~에 관세를 부과하다
(예: We’ll probably have a tariff on coffee.) - affordable caffeine
→ 저렴한 카페인 (커피를 의미)
(예: They still value affordable caffein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