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뉴스

황사, 미세먼지, 초미세먼지 차이점과 발생 원인

by 에스페란토아이비킴 2025. 3. 13.

 

중국 황사가 옵니다.

 

살루톤! 아이비입니다.
오늘 눈에 들어 온 기사는...
“종말온 줄” 중국인도 놀란 ‘최악의 황사’…오늘밤(25.3.13) 한반도 덮친다
 
중국에 방어벽을 칠 수도 없고,
차이점이 뭐고, 어떻게 대처해야하는지 
알아봤습니다. 


1. 황사, 미세먼지, 초미세먼지는 어떻게 다른가요?

황사:

  • 자연적인 현상으로, 중국과 몽골의 사막·건조지대에서 발생한 모래·먼지가 바람을 타고 이동하는 것
  • 입자 크기가 크고(평균 1~10㎛ 이상), 눈에 보일 정도로 공기를 누렇게 만들기도 함
  • 봄철(3~5월)에 주로 발생

미세먼지(PM10):

  • 직경 10㎛ 이하의 먼지
  • 황사와 달리 자동차 배기가스, 공장 매연, 화석연료 연소 등 인위적 요인이 큼
  • 호흡기에 영향을 미칠 수 있음

초미세먼지(PM2.5):

  • 직경 2.5㎛ 이하의 먼지로, 미세먼지보다 훨씬 작음
  • 크기가 작아 폐와 혈관까지 침투할 수 있어 건강에 더 해로움
  • 주로 자동차 배기가스, 화석연료 연소, 산업활동에서 발생

2. 황사와 미세먼지는 어떻게 발생하나요?

황사 발생 원인

  • 건조한 봄철, 중국·몽골 사막지대에서 강한 바람이 불어 흙먼지가 대기 중으로 떠오름
  • 이 먼지가 바람을 타고 한국, 일본 등 동쪽으로 이동

미세먼지·초미세먼지 발생 원인

  • 국내 발생: 자동차 배기가스, 공장 매연, 석탄·석유 연소 등
  • 국외 발생: 중국에서 발생한 오염물질이 바람을 타고 한반도로 유입
  • 기상 요인: 대기 정체 시 미세먼지가 빠져나가지 못하고 한반도에 머물러 농도가 짙어짐

3. 황사와 미세먼지가 함께 올 때 더 위험한가요?

✅ 네!

  • 황사에 중금속·오염물질이 섞이면 건강에 더 해로움
  • 미세먼지와 결합하면 공기 중 미세먼지 농도가 급격히 상승하여 호흡기 질환 위험 증가

4. 황사, 미세먼지, 초미세먼지가 심할 때 어떻게 대비해야 하나요?

외출 시

  • KF80 이상 보건용 마스크 착용(KF94 권장)
  • 가급적 외출 자제, 특히 노약자·어린이·호흡기 질환자

실내에서는?

  • 창문 닫고 공기청정기 가동
  • 실내 습도 유지(40~60%) → 미세먼지 축적 방지
  • 외출 후 옷·손·얼굴 깨끗이 씻기

차량 이용 시

  • 창문 닫고 내기순환 모드 설정
  • 차량용 공기청정기 또는 필터 관리

💡 결론

  • 황사는 자연현상, 미세먼지·초미세먼지는 주로 인간 활동에서 발생
  • 황사와 미세먼지가 겹치면 건강 위험 증가
  • 미세먼지 농도가 높은 날은 철저히 대비하는 것이 중요!